포항시음폐수처리장 건설사업은 남구 호동 산32번지 일원에 사업비 80여 억원(국비 23억, 도비 2억, 시비 55억)을 들여 하루 320t의 음식물폐수와 쓰레기 침출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음폐수병합처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2년6월 착공해 같은 해 12월 완공한 뒤 2013년1월부터 시운전에 들어갔으나 수온상승에 따른 미생물사멸과 생물반응조 용존산소부족 등으로 방류수질이 법적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심한 악취가 발생해 현재까지 1년여 째 정상 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사태는 설계 당시부터 예견된 일이었지만 환경관리공단은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편법을 동원해 사업을 추진하며 희생양을 만들려 했다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기본설계 과정에 대한 의혹이다. 폐수처리장의 기본설계란 음식물처리업체인 영산만이 정상조업 시 발생하는 음폐수에 대해 시간대별 계절별로 변동하는 유량과 농도에 적합하게 설계를 하고 그에 대한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에 적어도 10개월 이상 폐수의 유량과 농도에 대한 변동의 추이를 관찰하고 분석한 다음에 기본설계에 임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취재팀이 각종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환경관리공단은 단 3차례의 시료채취 분석 결과만으로 중요한 기본설계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는 공학도의 상식을 벗어난 터무니없는 행태로 기본설계과정의 오류라고 지적하고 있다. 두 번째로 환경관리공단은 설계 의도대로 음폐수처리장이 정상화되지 않자 2013년10월께 18억7100만원의 시 예산을 추가로 들여 산기관을 교체하고 가압부상조를 설치했다. 산기관은 용존산소량을 늘리기 위해 교체했고 가압부상조는 부유물질을 줄이기 위해 설치했다. 가압부상조안에 밀폐된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탈취시설도 현재 설치 중이다. 오는 3월에는 수온을 낮추기 위해 냉각시설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결국 환경관리공단의 기본설계대로 음폐수처리장이 정상 가동됐으면 필요 없는 시설들이 현재 하나, 둘 건설되고 있는 데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시설을 가동해도 음폐수처리장이 정상 가동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는 현재까지 음폐수 발생량 대부분이 아직도 울산 전문처리기관으로 보내지고 있는 것이 단적인 반증이다. 더욱이 폐수처리장이 조기 정상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한국환경공단과 설계업체인 ㈜동호, ㈜에코다임이 환경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포항시와 영산만을 대상으로 전례 없는 음폐수 배출 협약서를 체결하게 만드는 ‘꼼수’를 썼다. 협약서의 내용은 시설에 공급되는 음식물폐수와 건조 응축수는 자신들이 제시한 조건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만약 음폐수 공급시 처리시설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영산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규정해 놓았다. 이는 기본설계를 실시한 당사자가 공급자를 대상으로 기준을 맞추라는 글자 그대로 갑과 을이 뒤바뀌는 어처구니 없는 전형적인 불평등협약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영산만 관계자는 음폐수 배출 협약서는 요식행위에 불과한 것이니 도장을 찍으라고 종용해 찍었다고 술회했다. 결국 환경관리공단은 그동안 음폐수처리장이 정상화되지 않자 영산만에 책임을 전가하고 시를 압박해 추가 설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환경관리공단이 80억원의 예산으로 조성한 시설도 생물학적 처리조(UMBR) 1동과 운전실, 전기실, 기타 시설 등이 고작으로 환경전문가집단이란 이름으로 과대하게 시민혈세를 요구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환경관리공단이 KNR Process가 BOD 몇 백 ppm 처리에 적합한 설비인데도 불구하고 BOD 10만~20만 ppm의 음폐수처리에 적용한 배경이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가압부상조를 설치해 SS를 제거하고, 산기관을 교체해 용존산소(DO)만 공급하면 잘 될 것이라고 주먹구구식으로 생각했던 것이 아닌가하는 의구심마저 일고 있다. <계속>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