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이 경주 천마총에서 출토된 천마문 말다래(障泥) 2점을 최초로 공개했다. 국립경주박물관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6월 22일까지 개최 예정인 천마총 특별전인 ‘천마(天馬), 다시 날다’ 개최에 앞서, 기존에 널리 알려진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1점과 함께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또 다른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1점,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 1점을 처음으로 이날 언론에 공개했다.경주시 대릉원에 위치한 천마총은 1973년 4월부터 12월까지 발굴, 금관을 비롯한 총 1만1526점이 출토됐다. 그 가운데 처음 발견된 하늘로 비상하는 흰말, 즉 ‘천마’를 그린 백화수피제 말다래로 인해 ‘천마총’으로 명명됐다. 이 말다래는 귀중한 신라 회화로서 1978년 국보로 지정됐다.당시 발굴보고서에는 백화수피제, 죽제, 칠기제 등 세 종류의 말다래가 각각 한 쌍씩 부장되었고 모두 유기질이어서 발굴 당시 이미 보존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고 기록돼 있다. 칠기제 말다래는 거의 남아 있지 않아서 실제 말다래인지도 분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현재 존재가 분명한 말다래는 백화수피제와 죽제의 두 쌍이다.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한 쌍은 아래위로 겹쳐 부장돼 아래에 있던 말다래가 위에 놓인 말다래보다 좀 더 좋은 상태였기 때문에 그동안 아래에 있던 말다래만이 제한적으로 공개됐다. 널리 알려진 천마도가 바로 이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이다.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던 또 하나의 백화수피제 말다래도 이번에 보존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발굴된 지 40년만에 처음으로 한 쌍의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가 함께 공개 전시된다.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는 얇은 대나무살을 엮어 말다래의 바탕판을 만들고, 그 앞면에 마직의 천을 댄 뒤 천마문 등의 무늬를 투조한 크고 작은 금동판 10매를 조합, 금동못으로 붙여 장식했다. 이 죽제 말다래의 천마문 금동투조장식은 경주박물관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천마의 몸에는 비늘무늬, 마름모무늬, 점열무늬 등을 가득 채우고 있으며 영락들이 장식됐다. 눈과 귀 등의 표현과 함께 목과 꼬리의 갈기 형태도, 기존의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의 천마와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죽제 말다래 역시 한 쌍이 출토되됐나, 다른 한 점은 발굴 당시부터 상태가 좋지 않아 그 형태를 알기 어렵다.말다래의 제작기법은 백화수피제 말다래의 경우, 실제의 자작나무 껍질을 활용한 실험 등을 실시해 말다래 판의 제작 방법, 안료의 종류 등을 밝혀냈다.이 천마문 말다래 3점은 천마총 특별전에서 일반에 공개되는데 보존을 위해 3차례로 기간을 나눠 천마총 특별전에서 공개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