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의 노인인구가 해를 거듭날수록 늘어가고 있다.지난해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8만명이 넘어섰다.경북의 노인인구는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다.지난해 기준 경북지역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45만2000명으로 전체 도민 269만9000명의 16.8%에 이른다. 이 같은 고령화 수준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전남도 19.6%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하지만 고령화 대응력에 있어 대구는 전국에서 꼴찌를 기록했고, 경북은 11위를 차지했다.이사실은 산업연구원의 고령화 대응력 종합지수 산출 조사에서 학인됐다.이 결과 대구가 2.49로 전북 2.65 다음으로 15위를 차지했다.반면 경기(대응력 지수 4.38), 충남(4.20), 충북(3.78) 등의 지역이 상위 1위~3위를 차지해 대조를 보였다.경기는 경제·산업분야를 포함하는 경제활력 부문과 보건·복지분야를 포함하는 생활활력 부문에서 각각 2위를 차지, 16개 지역 중 가장 안정적인 대응력을 보였다. 대구는 △경제지수 1.23 △산업지수 0.37 △보건 지수 0.44 △복지 지수 0.46점을 받았다.△경제활력 지수 1.53 으로 15위 △생활활력 지수 0.90 11위이다.무엇보다 우려되는 점은 경제영역의 지속가능성 부분에서도 14위를 차지, 향후 고령화 대응력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대구는 경제활력 15위, 생활활력 11위에 불과, 4대 영역의 지수도 모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경제활력이 낮게 나타난 것은 노동생산성 수준이 전국에서 가장 낮고, 생산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들의 평균연령이 가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경북은 △경제지수 1,64 △산업지수 0.47 △보건 지수 0.39 △복지 지수 0.50점을 받았다.△경제활력 지수 2.11로 9위 △생활활력 지수 0.89 12위 이다.산업연구원은 우리나라 지역들의 고령화 대응력은 뚜렷한 양극화현상이 관찰된다고 밝혔다. 대응력 지수가 가장 높은 경기도와 꼴찌 수준인 대구 사이에는 두배의 격차가 존재했다. 이는 고령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대해 잘 대응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으로 확연히 구분된다는 의미다. 경제활력과 생활활력 모두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활력지역에는 경기, 충남 등 7개 지역이 속한 반면, 두 부문 모두 전국 평균을 밑도는 쇠퇴지역에는 대구 등 6개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같은 결과는 대다수 지역이 속한 활력지역과 쇠퇴지역 간의 노동생산성 차이를 유발하고 이는 다시 경제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쇠퇴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보건·복지환경이 좋은 활력지역으로 이동하게 돼 활력지역과 쇠퇴지역 간 고착화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서는 꼬집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