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내진설계로는 발생 가능한 최대지진에 대해 월성원전 1호기 등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정의당 김제남 의원과 환경운동연합은 소방방재청의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2012년10월)의 자료를 토대로 스트레스 테스트 가이드라인 상 1만년 빈도의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한 결과 0.4g(지진규모 7.19)로 평가됐다고 지난 9일 밝혔다. 경주시의 월성원전 1호기 내진설계 기준(0.2g)과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0.3g) 보다 높은 값이다. 내진설계 0.2g(지진규모 6.58)보다 최소 6배 이상,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지진안전성 평가상의 0.3g(지진규모 6.94) 보다도 3배 이상 큰 지진에너지의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결국 월성 1호기 스트레스 테스트 지진 안전성 평가는 과소평가됐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는 주장이다.김 의원은 “스트레스 테스트는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경험으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에 원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월성1호기는 지진위험대에 위치하는 것이 판명됐다”며 “박근혜 정부는 활성단층대에 위치하는 노후원전의 수명연장을 시켜서는 절대로 안되며 월성1호기는 즉각 폐로절차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은 "소방방재청 보고서 상에는 재현주기 4800년에 해당하는 지반가속도까지는 지진위험지도에 수록되어 있으나 재현주기 1만년에 해당하는 지반가속도(0.4g)는 계산 수록되어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특히 "환경운동연합 등의 분석은 지반가속도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재현주기별 입력자료와 계산절차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재현주기별 지반가속도의 증가 추세를 이용하여 1만년 재현주기 지반가속도를 추정한 것이므로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반면 "월성 1호기 스트레스 테스트시 적용한 지반가속도값은 규제기관의 관련 지침에 따라 1만년 재현주기의 최대지반가속도값을 계산한 것으로 지질 및 지진자료 등 적합한 분석자료 및 분석절차에 의거 실제로 계산된 값"이라고 주장했다.월성원전 1호기는  2012년 11월 설계수명 30년을 맞아 가동을 중지하고 고리 1호기에 이어 국내에서 두번째 계속운전을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 등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심사를 받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