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4일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후보들은 저마다 자신들의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각 후보들이 제시한 수많은 공약은 정책을 입안하고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예산확보, 서민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복지, 지역발전 전략을 구상하는 비전, 눈부신 의정활동, 문화관광 중심도시 육성, 경쟁력 있는 산업도시로 변모 내용 등을 채우면서 선거가 끝나면 공약(空約) 논란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왜냐하면, 그동안 손으로 꼽기 어려울 만큼 많았던 지역개발 공약들은 선거용 장식물로만 전락해 왔기 때문이다.이러한 공약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 지역개발과 관련된 선거 공약이 많을 수밖에 없고, 지역공동체가 인구유출 없이 성장할 수 있는 전제는 지역에서 일자리가 지속해서 제공될 수 있는지와 직접 관련될 것이다. 또 지역경제 규모가 빈약할수록 지역사회가 공공부문에 의지하는 정도 역시 높은 게 현실이다. 이런 마당에 기업유치 공약은 지역의 허약한 경제구조를 단숨에 바꿀 수 있는 장밋빛 공약으로 치부돼왔다. 하지만 도로나 공단건설사업과 기업유치 공약은 지역경제 활성화 방식의 전형은 결코 아니다.물론 토목과 건설 사업이 지역경제에 선 순환적으로 활용될 수는 있지만, 그 영향력과 효과는 이미 줄어들고 있다. 예를 들어 경북의 낙후지역에서 토목공사가 벌어지더라도 건설인력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현상이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음식점이나 숙박업소와 같은 자영업 경기 정도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업을 가지고 지역 전체의 경제를 활성화하려 한다는 건 사실상 무리이다. 오히려 지역주민의 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건 일자리 제공이며, 이를 유치하기 어려운 민간 기업에 기대어 지역공동체 유지를 꾀하기보다 사회적 기업, 마을 기업,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 경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지역주민의 경제적 소비활동을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지역사회 처지에서는 미래를 약속하는 지역발전의 전망일 것이다. 편집국/지방부 부국장 김은규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