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11월, 세계 3대 오페라단으로 통하는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로 현지의 관심이 쏠렸다. 미국의 세계적인 지휘자 제임스 레바인(71)이 지휘하는 모차르트 오페라 `티토왕의 자비`, 이 꿈의 무대에 아시아인 가수가 올랐기 때문이다.아름다운 여자 `세르빌리아` 역을 맡은 소프라노 홍혜경(55)은 서정성 짙은 목소리와 고혹적인 자태로 단숨에 주목 받았다. 뉴욕타임스 등 미디어의 호평이 잇따랐다. 동양인 가수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주역으로 나선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이후 `라보엠`의 `미미`, `리콜레토 `의 `질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 `피가로의 결혼`의 `수산나` 등 여가수라면 탐낼만한 캐릭터를 도맡으며 스타덤에 올랐다. 그렇게 메트 오페라 무대의 `프리마 돈나` 또는 `안방마님`으로 활약했다.올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데뷔 30주년을 맞은 홍혜경은 2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30년 전 기억이 아직도 살아 있어요. 가장 뜻싶은 날이었죠"라며 웃었다. 15세에 미국으로 간 홍혜경은 1982년 한국인 최초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녀에게 뉴욕 메트로 오페라는 링컨센터 안에 함께 있는 줄리아드 음악원 예비학교에 다닐 때부터 꿈의 무대였다. 하지만,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첫 러브콜은 거절했다. "본인에게 맞는 배역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고사했다. 당시 메트로폴리탄이 제안한 작품은 현대 오페라 `룰루`였다. 다중인격, 섹스 등을 그로테스크하게 그린 작품으로 홍혜경에게 창녀 역을 제안했다. "오페라의 가수에게는 상당한 유혹이 따르죠. 음악의 세계는 참 좁아요. 여기서 노래를 잘 하면 전체가 알게 되고, 초청이 들어오죠. 그런데 자신을 아는 게 중요해요. 유혹을 따라가서 목이 망가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저는 그때 오래 가는 것이 목표였어요. 정말 노래 잘하는 분들이 3, 5년 지나서 사라지는 걸 보고 일찍 깨달았죠. 목소리를 잃지 않고 다 성장시켜서 제대로 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자는 거였죠."뉴욕메트로 오페라단에서 우뚝 서기까지 홍혜경에는 더 큰 난관이 있었다. `한국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1972년 처음 미국에 갔을 때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않았어요. `(6·25 동란 때) 너희를 위해 싸워줬다` 등의 생각밖에 없고, 불쌍한 이미지였죠. 인종 차별을 많이 받았습니다. `무대에서 미국 남자가 어떻게 동양 여자를 사랑할 수 있어?`라는 인식이 컸죠."아시아인으로서 미국인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는 것이 자신의 책무라고 생각했다. "노래뿐 아니라 모든 삶에서요. 노래만 잘하는 것보다 존경받을 만한 걸 가지고 있어야 했죠. 정정당당하지 않으면 영어로 싸워야 했어요. 지성적이지 않으면 눌림을 당하죠. 음악적인 목적도 중요했지만 사람으로서 내가 가야할 길, (성공하는데) 그런 것들이 도움이 됐습니다. 아시아 여자가 서양 오페라를 하는 것이 신기하다면서 인터뷰도 많이 했는데 힘들었어요. 하지만, 사람들의 눈을 빨리 끌 수는 있었습니다."언젠가 커리어를 마무리하는 시점이 오면 한국의 학생들에게 본인이 배운 것을 전해주고 싶다던 홍혜경은 올해 1학기부터 연세대학교 성악과 강단에도 서고 있다. 최근 제24회 호암상에서 예술상을 받으며 음악계에 쌓은 공로도 인정 받았다. "메트나 세계 무대를 비롯해 성악가로서 쌓은 경험을 학생들에게 모두 전달하고 싶어요. 제가 9명의 성악 선생님에게 배웠는데 좋은 선생님도 있지만, 못 가르치는 선생님도 있었죠. 노래가 잘 안 돼 빨리 끝나는 걸 볼 때 좋은 선생이 자리를 잡아줬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죠. 대학교에 가보니 다들 우리 딸들 나이라 선생보다는 엄마 같은 마음입니다. 테크닉도 테크닉이지만, 전체적으로 삶에 대해 전해주고 싶어요. 삶과 음악이 어떻게 같이 갈 수 있을까, 개인의 경험을 전해주고 싶어요."김의준(64) 롯데홀 대표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국립오페라 단장으로 홍혜경이 거명됐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다. "사실 저는 오페라 가수에요. 제일 좋아하기도 하고요. 오페라단을 이끌어간다는 것이 꿈 중 하나죠. 그런데 지금까지 연주자로서 지냈는데 저에게는 한 조직을 끌어낸 경험이 없어요. 미국에 오래 살아서 한국 (오페라계의) 흐름도 잘 모릅니다. 배워야 하죠.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한국에 자주 나와 느끼고 배워야 감이 잡힐 것 같아요. 오페라를 가까이 하면서 결국은 오페라를 성장시키는 것이 꿈이죠. 그런데 아트 디렉터면 모를까, 아직 오페라 전체를 이끌어가는 건 부족해요."한편, 홍혜경은 21일 `2014 수원화성국제음악제` 폐막공연에서 수원시립교향악단(상임지휘자 김대진)과 처음으로 호흡을 맞추는 등 한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