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4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국내 원전의 효시인 고리 1호기가 2007년 6월 설계 수명(30년) 만료로 가동이 중단됐다.이후 정부의 승인을 받아 2008년 1월 10년간의 일정으로 재가동에 들어갔다.경제성과 국내 폐로(廢爐) 기술이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데 이유가 있다. 원자력발전 확대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폐로에 따른 현실적 대책 수립이 더 시급하다. 폐로의 핵심은 △원자로 등 1차측 제염 기술 △방사능 다량 방출 부분 원격 절단술 △원전 해체 후 폐기물 처리 △원전 부지의 환경 복원 등이다. ▣원전 4기중 1기 2027년 이전 수명 끝난다  전 세계적으로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정도의 국가들만 폐로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들 국가가 폐로한 원전은 129기에 이르며 현재도 원전 폐로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올 연말 완공 예정인 경주 방폐물 처분장마저 머지않아 포화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사용후핵연료 저장량은 총 36만 8092다발로, 총 임시 저장 용량(51만 8307다발)의 약 71% 수준에 이른다. 중장기적으로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0∼2024년)에 따른 원전 확대(23 → 34기)를 고려 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은 상당 부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발생량은 2011년 대비 2040년에 1.8배(경수로 3.57배, 중수로 1.76배)인 65만 다발 규모, 연평균 2.1%(경수로 4.5%, 중수로 2%) 증가 추세를 전망한다. 현재 23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24년까지 총 34기의 원전을,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경에는 원자력 발전 비중을 현재 약 36%에서 59%까지 확대한다. 원전의 확대는 그만큼 방폐물 발생량도 많아짐을 의미한다.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간인  2027년까지 국내 원전 10기중 4기 가량의 설계수명이 만료돼 이들 전의 계속운전(수명연장) 여부를 놓고 대혼란이 야기된다.원자력에 대한 정책결정을 2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이후로 유보했다는 당국의 설명과 달리 6차 계획이 이들 수명만료 원전의 계속운전을 기정사실화 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현재 가동되고 있는 국내 원전 23기중 6차 전원계획 기간내에 설계수명이 끝나 폐로(廢爐)나 계속운전 후보가 될 원전을 추렸더니 고리1호기를 포함 무려 10기가 여기에 해당됐다. 전체 23기중 38.9%(8066MW)에 달하는 전원(電原)이 14년 내에 존폐기로에 선다는 이야기다. 가동원전의 설계수명 만료와 계속운전 여부는 이미 뜨거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한수원에 따르면, 고리 원전이 2016년 최초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시작으로 월성 원전이 2018년, 영광 원전 2019년, 울진 원전이 2021년에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후핵연료는 2024년까지 매년 1만 6890∼2만 2194다발 규모 발생이 예상된다.2021년 누적 발생량이 53만 4029다발에 달해 임시 저장 가능 총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2011년까지 호기 간 운반 비용에 81억 4000만 원이 지출됐으며 2016년까지 400다발, 16억 원 이상의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원전의 수명만료는 2023년부터 본격화된다. 그해 4월 고리2호기를 시작으로 매년 매년 1~2기의 원전이 심판대에 올라 폐로냐, 수명연장이냐 극단의 선고를 받게된다.설계수명대로라면 고리3호기는 2024년 9월에, 고리4호기와 영광1호기는 2025년 8월과 12월에, 영광2호기와 월성2호기는 2026년 9월과 11월에 각각 무기한 가동정지에 들어간다.또 6차 전원계획의 마지막 해인 2027년에도 울진1호기와 월성 3호기가 멈춰설 예정이다. 이들 원전은 운명은 올 하반기 수립될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뚜렷한 향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