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터 활용 방안’이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토연구원이 제시한 ‘ICT(정보통신기술) 창조경제 허브’가 막상 도청 인근 주민들에게 싸늘한 시선을 받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김상조 국토연구위원은 “대구는 타 시도와 비교해 국제기구가 전무해 내륙도시의 한계인 개방성 부족과 제조업의 취약성 등으로 대구 도시개발에 한계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안으로 경북도청 이전터에 ‘ICT융복합(ICT+기존산업, 문화예술)’조성을 제시했다.  그는 “경북도청 이전터에 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 22세기 주력산업인 ICT 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대구의 기존 주력산업(섬유·금속·자동차 부품)과 문화·예술을 연계해 도청 이전 터가 대한민국 창조경제의 허브가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비전을 가칭 ‘연암드림 앨리’로 명명했다.  이곳에 컨트롤 타워인 ‘연암드림 앨리 종합센터’를 중심으로 ICT 기반 창의 인재 구축을 위한 ‘미래연구센터’와 ‘한국SW종합학교’, 지역산업에 신기술을 연구지원 할 ‘창조경제벨트 지원센터’및 ‘중소기업 R&D지원센터’, ICT 융합문화산업을 육성할 ‘공연기술연구센터’와 ‘국립공연진흥원’ 등을 신설·유치할 것을 구상했다.  한편 토론자인 박찬돈 교수(경운대 건축학과)는 “연암드림앨리는 현실적이긴 하지만 창의적이진 않다. 서울 수도권 (분당)에서 하는 것을 우리도 가져와서 해보자라는 것으로 보인다”며 “(도청터) 주변지역도 같이 개발하겠다고 했지만 공간 용도적 특성이 배제돼 있어 오히려 산격동은 더 소외될 수 있는 공간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다음 토론자인 이성근(도청이전터 개발대책위원회)사무국장은 “창조경제 자체가 생소하고 오늘 제시된 내용은 지역주민의 생각과는 달라서 먼저 소통이 돼야한다”고 전제하면서 “이곳에 도청이 들어선 1966년 4월 이후 50년간 주변지역과 단절돼 (지금도) 소외받고 있으니 신경을 써 달라”고 주문했다.  또 다른 토론자인 곽정호(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ICT산업의 방향성은 적절하다”고 평가했고, 오병현(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은 “생태·환경·건강·문화로의 시각전환이 필요하며 대구시민과의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질의·응답에서 대구시 관계자가 “이전 안은 국비를 따내기 위해서고 통상적인 시설로는 국가 돈을 받을 수 없다”면서 “(도청이전 특별법) 통과 지연 시 대구시는 대책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주민 대표 이모씨는 “결국 국비지원을 받기위한 ICT 창조경제타운은 말이 안 되며 국비를 받아도 10∼20년 걸리는데 연차적으로 돈이 내려오면 개발은 알 수 없다”고 회의적으로 말했다.  이외에도 △시청·법원·검찰 이전 행정타운 조성 △대기업·일반인에게 도청터 매도 △연암드림 앨리의 구체성·실현가능성 부족 △고도제한 해제로 아파트건설과 인구유입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ICT특별법)과의 연계안 등도 거론됐다.   국토연구원이 제시한 대안은 ‘개발비용’과 ‘도청이전 특별법 개정안’ 통과가 우선 뒷받침돼야 한다. 2020년까지 총 사업비 4,838억 원은 국비(3277억 원), 시비(711억 원), 민자(900억 원)로 재원이 구성돼 있다. 그런데 2년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계류 중인 ‘도청이전 특별법 개정안’은 정부의 과도한 재정부담·지자체 자체사업·타 지자체와의 형평성 등의 이유로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는 특별법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다. ‘ICT(정보통신기술)창조경제 허브’라는 ‘장밋빛 청사진’은 ‘일모도원(日暮途遠)’한 현실에서 연내 법안통과가 이뤄질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