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학관의 전시작품 선정조건에 ‘친일행각’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내년이면 광복 70주년, 대구문학관은 ‘친일작품’이라도 문학적 가치만 높게 평가되면 작가의 친일행적을 전혀 문제 삼지 않고, ‘대구를 빛낸 향토작가’라는 명예를 부여한 어처구니없는 일을 저지르고 있어 여론의 도마에 오르고 있다. 대구문학관 전시관에서 논란거리인 친일작가들의 작품을 철저한 검토 작업 없이 무분별하게 전시하고 있다<본지 11월12일자 1면 보도>는 지적에도 아랑곳않고 관계기관인 대구시와 대구문학관은 아무런 조치나 해명이 없어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21일 대구시 관계자에 따르면 “기획위원회의 선정조건은 오직 문학적 가치만을 중시했을 뿐 ‘친일파’라는 개념은 문제 삼지 않았다”며 “최정희의 경우 귀중자료라서 전시를 하고 있으며, 대구문학관의 운영위원회 개최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고 운영위원회가 구성되면 안건으로 상정해 논의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역사의식부재’, ‘비정상적인 운영’, ‘혈세낭비’라는 여론의 몰매를 맞고 있다.  이같은 시각은 대구문학관을 위탁 운영하고 있는 대구문화재단도 마찬가지다. 대구문학관 담당자는 “친일과 항일의 문제에 있어 학계에선 ‘완전 친일’이 아니면 문학작품이라서 작가의 성향은 문제 삼지 않고 작품을 전시했다”는 선정위원의 말을 전했다. 또 “대구문학관의 방향성을 잡아서 전시한 것이기 때문에 개관한 지 얼마 안 돼 당장은 교체가 어렵다”는 답답한 말만 전했다. 이에 최남선을 비롯해 김억, 정비석, 장덕조, 최정희가 ‘완전 친일’이 아니라는 전제 아래 ‘선정위원회’가 대구문학과 근대문학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선정해 아무런 설명이나 비판 없이 ‘버젓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이같은 해석적 오류가 신속히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현재 대구문학관은 정상화를 위한 운영 위원도 발표하지 않은 상태이며, 운영비를 마련 못해 ‘관장’을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부방침도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정책의 우선순위로 채택해 총 160억 원(대구문학관 80억 원, 향토문화관 80억 원)이라는 막대한 혈세를 투입해 조성한 ‘전후문화 재현관’ 사업이 예산운용의 예측성에 실패했다는 비난 여론도 면키 어렵다고 하겠다. 하지만 친일행각이 결코 바람직한 문화 예술적 자산이 될 수 없고, 친일행적에 대한 비판 없는 무분별한 전시는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다. 여기에 “궁핍한 전란 속에 저녁은 굶어도 술자리를 놓칠 수는 없었다”는 문인 예술가의 음주와 담론, 기행이 마치 대구문학의 아름다운 골목길로 미화돼 전시되고 있는 실태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