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버스준공영제가 수술대에 올랐다.해마다 버스업체에 대한 지원금이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지만 시민 편의와 안전을 볼모로 버스업체의 배만 불리고 있기 때문이다.김범일 전 대구시장도 시장재직시 2008년 12월 29일 간부회의에서 “시민의 혈세인 버스준공영제 재정지원금이 효율적으로 집행되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를 과감히 개선토록 주문했다.7년 세월이 흘렀지만 대구시의 버스준공영제는 여전히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 대구시는 2006년 버스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9년간 6713억 원을 퍼부었다.연도별 재정지원금 현황을 보면 시행 첫해인 △2006년 413억 원 △2007년 564억 원 △2008년 744억 원 △2009년 775억 원 △2010년 840억 원 △2011년 802억 원 △2012년 789억 원(예상) △2013년 838억 원 △2014년 948억 원이다. 때문에 시민 혈세를 갉아 먹는 버스준공영제 전면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만 가고 있다.그런데도 대구시는 2006년 버스준공영제 시행 이후 7년간 단 한번도 감사를 하지 않았다.준공영제에 따라 매년 막대한 예산을 지원받고도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정비 비용 지출엔 인색하다. 적자 상태에서도 일부 버스업체 대표이사들은 연봉을 꼬박꼬박 올려 받고 있다.과연 누구를 위한 준공영제인지 한마디로 구멍 뚫린 버스준공영제이다. 버스준공영제 문제를 놓고 대구시의원들도 들고 일어났다.엄청난 혈세가 줄줄 새고 있다는게 이유다.대구시의회는 24일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열어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 현안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포문은 김혜정 시의원이 열었다. 그는 시정질문에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로 해마다 버스업체에 대한 지원금이 눈덩이처럼 증가하는 등 시민 편의와 안전을 볼모로 버스업체의 배만 불리고 있다”며 전반적인 대수술을 촉구했다.김창은 시의원도 목소리를 높였다. 김 시의원은 보충질의에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합의서가 30분 만에, 그것도 종이 한 장으로 졸속으로 이뤄져 지금과 같은 문제를 낳고 있다”며, “즉시 폐기할 것”을 주장했다.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7년이 지나도록 감사조차 하지 않았다며 대구시의 무능 행정을 질타했다. 그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대구시의 재정을 파탄시키는 주범이 된다고 맹폭을 가했다.답변에 나선 권영진 대구시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제공한 긍정적인 측면이 많았다”며 “버스회사의 방만경영으로 많은 재정이 투입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합리적인 요금 체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