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음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알코올성 정신장애’가 남성 60대, 여성은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진료인원)가 남성 60대와 여성 40대가 각각 537명과 90명으로 성별로 가장 많았다고 28일 밝혔다.남성은 60대 537명, 50대 501명, 70대 457명 순이고 여성은 40대 90명, 50대 87명, 30대 77명 순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50대 294명, 60대 287명, 70대 218명 순으로 조사됐다.전체 환자 수는 2008년 6만 3821명에서 2013년 7만 5925명으로 1만 2104명 늘고 연평균 증가율은 3.5%였다.남성은 2008년 5만 1000명에서 2013년 6 만1000명으로 연평균 3.6% 증가했다. 여성은 같은 기간 연평균 3.2% 늘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알코올 치료센터 이선구 박사는 “60대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는 수십 년 음주를 해 온 노년층이 젊은 층 보다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라며 “사회·경제적 활동이 적은 노년기이자 정신적 위기를 맞는 60대가 취약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여성은 40대에 폐경과 함께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있고 중년기로 넘어간다”며 “우울증 같은 기분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때 일종의 자가치료로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연령대별 증가율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30-40대 남성은 소폭 감소한 반면 나머지 계층은 증가했다. 특히 19세 이하에서 크게 늘었다. 진료형태로는 입원환자는 2008년 2만 7250명에서 2013년 3만 2503명으로 연평균 3.6% 증가했다. 외래진료는 2008년 4만 6227명에서 2013년 5만 4973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3.5%였다.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363억 원에서 2013년 2175억 원으로 연평균 9.8%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진료비 중 입원진료비 비중은 94%에 달했다.▣최선의 치료법은‘금주’알코올성 정신장애는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섭취해 내성이나 의존이 생기는 ‘알코올 사용장애’와 인지기능과 기분, 수면, 정신병적 증상 등이 생기는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로 나뉜다.알코올 사용장애에는 의존과 남용이 있다. 신체적 위험에도 불구하고 의도한 것보다 술을 많이 마셔 간 질환 등을 유발한다. 가정·직장에서 역할을 제대로 못 할 정도로 술을 마시는 경향이 있다. 갈망과 내성, 금단 등의 증상을 보인다.      알코올 유도성 장애에는 금단·기억장애·치매·망상이나 환각·불안장애·수면장애 등이 있다. 증상은 불안·초조, 환시·환청, 기억력과 판단력 저하,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 다양하다.만취 상태에서 상습적으로 시민들을 괴롭히는 주폭(酒暴)과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연관성이 낮다. 주폭은 술이 문제라기보다는 충동 조절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치료 과정에서 가장 큰 원칙은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다. 알코올을 섭취하면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술을 마시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를 받게 된다.한 번 마시기 시작하면 조절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반드시 술을 끊어야 한다. 조절이 가능한 사람들이라도 식사를 하면서 적당량을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