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수가 사상 최저 수준에 머문 것으로 추정된다.  가임여성 인구가 줄어드는 등 구조적인 영향이 있지만 근본적인 저출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그동안 방점을 뒀던 보육지원에서 결혼 지원으로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을 변경할 방침이다.1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출생아 수는 37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37만700명) 보다불과 500명 많은 숫자다.2013년 연간 전체 출생아수는 43만6500명으로 2012년 보다 9.9% 감소했다. 이는 2005년(43만5000명)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출생아의 경우 아직 2개월 집계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추세를 고려할 때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실제 201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19명을 기록했다. 추세를 고려하면 2014년에도 초저출산국을 탈출하기 어렵다. 출산율이 1.30명 이하면 초저출산국으로 분류된다.한국은 2002년 1.17명 이후 12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출산율 최하위다. 합계출산율은 가임기간(15-49세) 여성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한편 정부는 출산율을 끌어올리려고 지난 2006년부터 저출산 관련 예산을 증액해왔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에 따르면 11개 정부부처의 저출산 대책 예산은 2006년 2조1445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4조8927억원으로 7배가량 급증했다. 하지만 2013년 출생아는 43만6500명으로 2006년 44만8200명보다 감소했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50조원을 쏟아 부었지만 출생아가 늘어나지 않고 줄어든 셈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저출산 정책 패러다임을 무상보육, 양육수당 등 보육지원에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등 결혼지원으로 변경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저출산 대책의 핵심은 결혼과 출산 연령을 앞당기는 것”이라며 “결혼과 첫째아 출산이 늦어지면 자녀를 낳더라도 한명만 낳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기획재정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도 이런 내용이 포함됐다. 정부는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9월까지 ‘제3차(2016-2020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기재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해당 계획에서 결혼 인센티브 강화, 입양 등 확산, 양육·교육 부담 완화 등을 통한 출산율 제고 등의 정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