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이 앞에 다가왔다. 설·단오·추석·한식을 우리나라 4대 명절이라 부른다. 설과 단오, 하지만 동지와 한식은 오늘날 그 의미가 축소됐고 설과 추석이 대표적 명절로 자리잡았다. 설과 추석을 두고 ‘민족 최대의 명절’이란 말을 즐겨 사용한다. 설과 추석, 어느 날이 최대 명절일까.▣설의유래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1일이 설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사간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 섧다는 말로 슬프다는뜻이라고도 한다.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 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그런다음 나이가 많은어른들에게 부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한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는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해왔다.▣설의어원설은 새해의 첫 시작이다. 설은 묵은해를 정리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과 다짐으로 새 출발을 하는 첫날이다. 이 `설`은 순수 우리말로써 그 말의 뜻에 대한 해석은 구구절절 하다. 그 중 하나가 `서럽다`는 `설`이다. 선조 때 학자 이수광이 `여지승람`이란 문헌에 설날이 `달도일`로 표기되었는데, `달`은 슬프고 애달파 한다는 뜻이요, `도`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이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는 뜻이다. `서러워서 설 추워서 추석`이라는 속담도 있듯이 추위와 가난 속에서 맞는 명절이라서 서러운지, 차례를 지내면서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하여 그렇게 서러웠는지는 모르겠다.다음은 `사리다`[삼가다.]의 `살`에서 비롯했다 설이다. 각종 세시기들이 설을 신일이라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 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 망동하지 말라는까닭이다. 옛날 문헌들에 정초에 처음 드는 용띠 날 말띠 날 쥐띠 날 돼지띠 날 그리고 2월 초하룻날을 신일 로 적혀 있음을 근거로 하여 육당 최남선이 풀이한 기원설이다. 새해부터 처음 맞이하는 십이일을 상십이지일이라 하여 여러 가지를 삼가며 조심할 것을 가르친 풍속이 있는 걸 볼 때, 매우 타당한 설이다.`설`의 어원에 대해 또 다른 견해는 나이를 댈 때 몇 살... 하는 `살`에서 비롯된 연세설이다. 한국말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우랄 알타이어계에서 해가 바뀌는 연세를 `살(산스크리트어) · 잘(퉁구스어) · 질(몽고어)`이라 한다. 산스크리트 말에서 `살`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그 하나는 해가 돋아나듯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뜻이 그 하나요, 다른 하나는 시간적으로 이전과이후가 달라진다는 구분이나 경계를 뜻하고 있다. 이 모두 정초와 직접 연관되고 있다. 중국의 어원사전인 `청문엽서`에 보면 연세를 나타내는 `살`· `잘`은 세· 대· 수를 뜻하고, 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의 어원이라고도 했다. `몇 살 몇 살` 하는 `살`이 그 연세의 매듭을 짓는 정초를 나타내는 `설`로 전화됐음직하다. 설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견해는 `설다. 낯설다` 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이다.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문화적 시간의 충격이 강하여서 `설다`의 의미로,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정착되었다. 곧 묵은해에서부터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에 있는 다소 익숙치 못하고 낯설은 단계라는 의미이다.따라서 설은 동지로부터 시작하는 마무리 시기에서부터 새해를 맞이하는 새 시작의 설날을 정점으로 해, 그리고 상십이지일과 정월 대보름의 대단원까지를 한 선상에서 보아야 제대로 볼 수 있다.▣까치설날의 설화 삼국유사에 기록도해 있는 신라 소지왕 때 왕후가 한 스님과 내통하여 왕을 해하려 하였는데 까치(까마귀)와 쥐, 돼지와 용의 인도로 이를 모면했다. 이때부터 쥐, 돼지, 용은 모두 12지에 드는 동물이라 그 날을 기념하지만 까치를 기념할 날이 없어 설 바로 전날을 까치의 날이라 해 까치설이라 이름 지었다.우리의 `설`은 `한설, 한첫날`이라 일러지는 것과 `아찬설, 까치설, 작은설`이라고 일러지는 두 종류가 있다. `한설`은 작은 설에 비해 큰 설이란 뜻으로, `가위` 가운데 큰 가위를 `한가위`라 하는 것과 같은 말이다. `한첫날`은 일년 열두달 가운데 가장 큰 첫날이란 뜻이다. 이들은 다 같이 `설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첫날`은 `元日`, `元旦`과 맥을 같이 하는 말이라 하겠다. 이에 대해 `아쏅설`이나 `아쏅설날`, `까치설`이란 말은 작은 설, 곧 섣달 그믐, 세모를 가리키는 말이다. `아쏅`은 `작은`을 뜻하는 말이다. 조카를 `아쏅`이라 하는 경우가 이러한 것이다. `까치설날`의 `까치`는 `아쏅`이 변한 말로, `아쏅`의 어원 의식이 없어지면서 이렇게 변한 것이다.▣신라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설날과 추석역사적 문헌을 찾아보면 <고려사>에서 설과 추석은 9대속절(설·정월대보름·삼짇날·팔공회·한식·단오·추석·중구·동지)에 포함돼 민족 명절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4대명절(설·한식·단오·추석)에 포함돼 있다.먼저 설날은 서기 488년 신라 비처왕 시절 설날을 쇠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으며, 고려와 조선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이후 을미개혁으로 양력이 도입되며 1896년부터 공식적인 새해 첫날의 기능은 양력설(신정)에 내줬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조선문화 말살 정책을 편 일제는 조선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온갖 탄압과 박해를 가했으나, 음력설을 쇠는 풍습을 없애지는 못했다.추석의 경우 그 시작이 언제부터 행해졌는지 문헌을 통해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중국·신라시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추석의 `한`이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란 `가운데`를 나타내는데, `가위`란 신라 시대 때 여인들이 실을 짜던 길쌈을 `가배`라 부르다가 이 말이 변해서 된 것이다. 추석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라의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벌인 적마경기에서 비롯했다는 설이 유력하다.▣세배 드리는 법 정월 초하룻날에 하는 새해의 첫인사이다. 설 차례를 지낸 뒤 자리를 해 앉는다. 조부모, 부모에게 먼저 하고 형, 누나 등 나이 차례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한다. 세배를 드려야 할 어른이 먼 곳에 살고 있을 때에는 정월 15일까지 찾아가서 세배하면 예절에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돼 있다. 세배하러 오는 어른에게는 술과 음식을, 아이들에게는 약간의 돈 또는 떡과 과일 등을 내놓는다.△절하는 법 남자1) 공수한 자세로 선다. 2)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손을 벌리지 않는다.)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왼발을 아래로 오른발을 위가 되도록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조아린다(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7)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9)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에 얹는다.△절하는 법 여자1) 공수한 손을 풀어 양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3)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4) 오른발이 아래로 왼발이 위로 가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5)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밖(양 옆)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엄지를 벌리지 않는다.)6) 윗몸을 반쯤(45°) 앞으로 숙이며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이때 엉덩이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어깨가 들려 목이 묻히지 않도록 팔꿈치를 약간 굽히는 것이 좋다.)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9)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10) 공수하고 원자세로 돌아간다.최유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