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유산으로 아이를 잃은 여성이 한해 1만7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 사이 연평균 증가율이 4% 가까이 됐다.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1.21명인 상황에서 자연유산을 경험한 여성까지 증가하는 ‘출산 이중고’ 현상이 확연히 드러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9-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연유산 건강보험 환자 수가 2009년 1만4740명에서 2013년 1만7151명으로 연평균 3.9%씩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분만 환자 중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3.6%에서 2013년 4.3%로 증가했다. 가임기 여성들 중 자연유산 비율은 40대 초반이 가장 많은 반면 30대 초반이 가장 낮았다.25-44세 가임기 여성을 연령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13년 기준으로 40-44세가 12.1%로 가장 높았다. 반면 30-34세는 3.5%로 가장 낮았다.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이산희 박사는 “확률적으로 40세 이상 고령임신에서 다운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이 많이 발생한다”며 “이로 인해 자연유산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자연유산은 직장에 다니는 여성들에게 더 위험했다. 40-44세, 25-29세 여성들이 직장에 다니지 않는 그룹에 비해 자연유산 비율이 각각 3.9퍼센트 포인트(%p), 2.8%p 높게 나타났다. 자연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임신 초기인 14주 이내에 자궁 내 태아가 사망해 발생하는 계류유산이 대표적이다.원인은 대부분 염색체 이상 때문이다. 염색체 이상을 유전되는 병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 임신 수정 과정에서 확률적으로 발생해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