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년간 전체 항생제 처방률이 11% 넘게 감소했지만, 강한 내성을 일으킬 수 있는 최신 의약품 처방은 오히려 2배 늘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하반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30일 누리집에공개했다.적정성 평가는 전국 4만4663개 의료기관의 항생제·주사제 등 외래진료 처방 3억6000만건을 분석한 결과다.평가 결과를 보면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2006년 54.03%에서 2014년 42.84%로 11.19% 포인트 감소했다. 첫 평가가 이뤄진 2002년 73.64%와 비교하면 30.8% 포인트 줄었다.급성 상기도감염은 공기가 폐로 전달되는 신체 기관인 기도 윗부분인 코·귀·목구멍 등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감기가 대표적이다. 전체적인 항생제 처방률은 지속해서 감소한 반면 광범위 항생제 처방률은 2006년 2.62%에서 2014년 5.43%로 2배가량 증가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균에 강한 살균력을 가진 항생물질이다. 세파 3세대 등 최근에 개발된 후세대 항생제를 일컫는 말이다.항생제는 4세대까지 제품이 개발됐고, 최근에 나온 것일수록 살균력이 강하지만 심평원은 광범위 항생제 처방률이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를 보였다.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를 바이러스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 감기 등에 처방하는 것은 연관성이 낮은데다 가벼운 질환에 센 약을 처방하면 향후 중증 질환이 생겨 치료받을 때 항생제 내성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만든 자체 방어능력을 말한다. 대표적인 항생제 내성균인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내성률은 한국이 73%로 미국 51%, 영국 14%, 네덜란드 1.4%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지난해 하반기 항생제 사용량은 28.4DDD(규정일일사용량)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0.3DDD에 비해 1.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28.4DDD는 국민 1000명 중 매일 항생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28명 정도라는 뜻이다.심평원은 가벼운 감기 등은 항생제 처방을 줄이는 것이 좋고, 필요한 경우 치료 범위가 좁은 1~2세대 항생제를 처방하면서 증상에 따라 높은 단계로 처방을 옮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광범위 항생제 처방률은 의료기관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고, 전년 대비 상급종합병원(대형병원)과 종합병원은 감소한 반면 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은 증가세를 보였다.심평원은 또 항생제 처방률이 의료기관 규모, 지역별로 편차를 보이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 지역별 항생제 처방률은 강원도가 48.24%로 가장 높은 반면 대전은 38.3%로 가장 낮았다. 전남과 충남은 전년 대비 각각 6.5%, 3.8% 감소했다. 반면 세종은 17.1%나 급등했다.의원급 의료기관 주사제 처방률은 소아청소년과가 3.47%로 가장 낮게 조사됐다. 하지만 비뇨기과와 외과는 각각 36.25%, 33.35%로 10배 가까이 높았다. 심평원 관계자는 “항생제는 세균 감염증이 확인된 경우 좁은 향균 범위를 가진 의약품부터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최근 살균력이 강한 최신 항생제 처방이 늘고 있는 것은 우려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