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8일 일반병실 기준을 4인실 위주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재차 밝혔다. 다만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확보 비율 70% 정책은 현행대로 유지된다고 강조했다.권덕철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반병상은 현재 6인실 중심으로 돼 있고, 여기에 사적 간병으로 가족이나 간병인이 들어가 있다”며 “이런 부분이 문제여서 4인실 위주로 일반병실 기준을 축소하고, 6인실 확보 기준을 완화하려는 취지”라고 밝혔다.이어 “(정부가) 병원 다인실을 늘린다고 해놓고서 한 달 만에 축소한다고 밝혀 정책 혼선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확보 비율을 70% 확대하는 것은 국민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고 접근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예정대로 추진한다”고 밝혔다.권 총괄반장은 “다만 다인실 구조에서 발생하는 감염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1-2인실 격리병상 확충이 필요한 실정”이라며 “이에 필요한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보전 등의 대책을 준비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복지부가 일반병실 기준을 4인실 중심으로 개편하는 것은 감염 예방을 위한 고육지책이다. 현행 5-6인실 중심의 일반병실 구조에서는 간병인까지 포함하면 한 병실에 10여명이 지내는 상황으로 감염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하지만 일선 대형병원들은 정부 방침에 따라 6인실 또는 5인실 기준의 일반병실 비율을 70%까지 확보하자마자 정부 정책이 4인실 기준으로 바뀌면 새로운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한다.경기도 한 대형병원 진료부원장은 “정부가 일반병실을 70%까지 확보하라고 해서 비용을 들여 최근에 그 기준을 맞췄다”며 “그런데 메르스 사태 이후 4인실 또는 다인실 축소 같은 정부 정책이 발표되면서 혼란스럽고 걱정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환자 객담·소변 등 검체, 백신 개발 등 활용복지부는 또 메르스 환자를 진단·치료하면서 모은 환자 검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 해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각 의료기관의 협조를 요청했다.우선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메르스 병원체, 검체 등 연구자원과 환자의 역학 임상정보를 확보할 예정이다.전국 의료기관과 검사기관에 있는 메르스 확진자 객담(가래), 소변 등 검체와 의무기록 같은 임상정보, 역학조사 자료도 확보하기로 했다.이 자료를 국·내외 메르스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치료 백신 기술 개발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권덕철 대책본부 총괄반장은 “환자 검체 등 메르스 국가 연구자원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작업을 시작하겠다”며 “메르스 국·내외 연구가 초창기인 현실에서 연구자원 기반이 구축되면 신속한 진단과 백신 기술 개발 등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