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 늙어가고 있다.대구의 인구정책 늘리기도 사실상 실패다.250만 인구를 자랑하던 대구는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점점 줄어들면서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을 빚고 있다.이미 250만 인구는 무너졌다.조만간 심리적 마지노선인 200만명대 붕괴 위기에 놓였다.출산율 감소를 넘어 노인인구 증가, 재정자립도 악화, 자체사업 예산 축소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만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넘게 되면 고령사회다. 지난해 4월 인구 250만명이 무너진 대구시의 노인인구는 올해 3월 기준으로 약 31만 명, 전체 인구의 12.3%를 차지해 고령화 사회 수준이다.대구지역의 주거빈곤층도 최근 3년 새 5.5배 증가했다.3대 도시 위상은 곤두박질쳤고 빈곤도시를 넘어 회색도시가 될까 두렵다는 소리도 나온다.▣ 대구 고령화 사회인구 감소세가 갈수록 뚜렷하고 노인인구의 증가세는 가팔라 고령사회 진입은 멀지 않는 장래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대구시 8개 구군 가운데 4개 지자체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한 상태다. 이 사실은 우리복지시민연합이 대구시에 2014년 7월부터 2015년 3월까지 9개월간의 기초연금수급자 지급 관련 현황자료 정보공개청구에서 확인됐다.이 결과 중구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8.9%였다. 이어 남구 17.7%, 동구와 서구 각각 14.9%였다. 달서구는 9.6%, 북구 10.8%, 달성군 11.4%, 수성구 11.7%로 8개 구·군간 격차가 심했다향후 도시발전과 복지,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노인인구가 늘어나면서 대구시 각 지자체의 전체예산 중 사회복지분야예산(기초노령연금 포함)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달성군은 31.2%, 중구 43.8%로 심각한 수준이 아니지만 남구 57.3%, 서구 59.8%, 수성구 62.1%, 북구와 달서구 각각 64.2%, 동구 64.3%에 달했다.달성군을 제외한 7개 지자체가 전국 자치구 평균 55.6%를 초과했다. 사정이 나은 달성군도 전국 군평균 21.1%보다는 10.1%p나 높았다.대구의 8개 구·군 재정자주도와 구·군 자체사업비중은 매년 낮아지고 있다. 달성군은 53.3%로 다소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다른 7개 구의 재정자주도는 평균 33.6%로 전국 자치구 평균 42.5%보다 8.9%p나 낮다.동구(30%)와 남구(30.5%), 서구(31.8%), 달서구 (32.2%), 북구(32.4%) 등 5개 구는 30%대 붕괴가 시간문제이며 사정이 나은 달성군도 전국 군평균 57.5%보다는 4.2%p 낮다. 특히 달성군은 2010년 69.2%에서 불과 5년 만에 15%p 이상 재정자립도가 악화됐다.8개 구·군은 전체 예산 중 자체사업예산 비중이 형편없이 쪼그라들었다. 달성군은 35.5%이지만 수성구 13.7%, 중구 13.5%, 북구 12.1%, 달서구 11.5%에 불과했고 그나마 동구(7.9%), 남구(8.2%), 서구(8.3%) 등 3개 지자체는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주거빈곤층 3년새 5.5배 증가대구지역의 주거빈곤층이 최근 3년 새 5.5배 증가했다.빈곤이 악순환되면서 서민들의 생계도 막막하다.경기가 IMF때 보다 더 어렵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고, 줄줄히 인상되는 공공요금으로 서민들의 가계를 더욱 옥죄고 있다.빈부격차가 심해지면서 신용불량자가 늘어나며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돈이 없어 병원에도 못가는 바람에 더 큰 질병으로 고통받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일을 해도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는 ‘일하는 빈곤층’이나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3대 모두가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는 ‘만성 빈곤층’이 급증하고 있다.정부에서 빈곤층 퇴치를 위해 마련한 ‘생산적 복지정책’은 계속 겉돌고 있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대구의 서글픈 자화상이다.대구지역의 주거빈곤층이 최근 3년 새 5.5배 늘어나 가난한 동네라는 멍에를 안고있다.주거빈곤층에 대한 개념과 대상, 분류 등이 불명확해 상당수가 어떤 주거 유형에서 생활하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우리복지시민연합은 “주거빈곤층에 대한 개념과 대상, 분류 등이 불명확한데도 매년 통계자료를 발표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보건복지부와 대구시에 정확한 실태조사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우리복지시민연합은 전국 3대 도시라는 대구에서 움막이나 비닐하우스 등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이렇게 많이 증가했다는 것은 사실 믿기 힘든 통계라고 뼈있는 말을했다.보건복지부가 해마다 발표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자료에서 주거유형 중 `기타`에 거주하는 전국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2010년 4529가구에서 2013년 1만456가구로 2.3배 늘었다.이 기간 대구지역은 75가구에서 415가구로 5.5배 증가했다.▣ 주거빈곤층 350명 어디로 갔나‘기타’ 주거유형은 ‘주거 역할을 할 수 없지만 실제로 주거하는 시설’로 움막, 비닐하우스 등이 해당된다.쪽방, 노숙인쉼터의 경우 정부는 ‘기타’ 주거유형에 포함시킨 반면 지방자치단체는 월세나 ‘보장기관제공 거주자’로 분류해 놓고 있다.우리복지시민연합 측은 “실제 수급자를 신청받아 자격심사를 하는 대구시와 구·군에 확인한 결과 무허가 판자촌이나 장기 병원 입원자 등이 ‘기타’ 분류에 일부 포함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쏘아부쳤다.시민단체는 “50-60명 가량으로 추정되는 장기 입원자를 제외한 나머지 주거빈곤층 350여명은 도대체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파악조차 안되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때문에 가장 열악한 주거환경에 처한 당사자들을 ‘기타’로 분류해 놓고도 대상이 누구인지 알지 못해 정책입안에 필요한 통계를 위해 즉각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맹폭을 가했다.한마디로 모든 정책을 입안하고 기획해 온 보건복지부 조차 ‘기타(움막·비닐하우스 등)’의 기준과 대상을 명확히 모른 채 지침행정만 하고 있다고 공격했다.▣ 대구 인구늘리기 정책 실패대구시의 인구 늘리기 정책이 사실상 실패라는 목소리가 높다.250만 인구를 자랑하던 대구는 조만간 심리적 마지노선인 200만명대 붕괴 위기에 놓였다.대구가 경기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질 못하면서 서울·경기 등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지역의 존립 기반마저 무너질까 두렵다.더 큰 문제는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나 자치단체들의 교육 분야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인색한 것도 ‘탈 대구행’을 부추기고 있다는데 있다.실업자 줄이기도 소리만 요란하다.대구의 지난해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0.7% 감소했다.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줄었다.때문에 대구가 희망의 땅에서 척박한 땅으로 변한 회색도시로 변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실제 대구의 순유출 인구가 매년 1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순유출 인구 가운데 20-29세의 젊은층이 가장 많았다.동북지방통계청의 동북지역 경제동향에서 확인됐다.경제동향에서  지난해 대구의 인구순이동(전입-전출)은 1만1351명이 순유출됐다.대구의 순유출 인구는 2010년 1만1840명, 2011년 1만2747명, 2012년 1만564명으로 매년 1만명 이상을 기록했다.지난해의 경우 20-29세 순유출 인구가 7014명에 달해 젊은 층이 많이 대구를 빠져나갔다.지난해 4분기 순유출 인구는 3천571명으로 이 가운데 25-29세가 1067명으로 가장 많았고, 5-9세 인구가 최다 순유입이지만 152명에 불과했다.20-74세는 순유출, 0-9세 및 75세 이상은 순유입으로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