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사시’ 진료 인구 중 0세부터 19세까지의 10대 이하가 84.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시는 소아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를 말한다.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사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10대 이하가 전체 남성 진료인원의 83.9%를 나타냈다. 이 중 9세 이하가 57.7%, 10대가 26.2%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도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5.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9세 이하는 58.7%, 10대는 27.2%로 분포됐다. 사시는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다양하나 영아사시는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는 18개월경 나타난다. 간헐외사시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조절내사시는 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하며 발생하는 현상이고 간헐외사시는 한쪽 눈 또는 양 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사시를 방치하면 양쪽 눈으로 상을 볼 때 기능장애가 생겨 입체시 저하가 나타난다”며 “특히 사춘기 청소년의 경우 외관상 이유로 심리적 위축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시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영아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이 가능하며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을 해야 효과적이다. 굴절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조절내사시는 조절마비굴절검사후 안경착용이 치료원칙이다.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나타나는 빈도와 사시각을 고려해 치료시기를 결정하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다. 김혜영 교수는 “비수술적 치료는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고 필요에 따라 프리즘안경을 고려할 수 있다. 약시가 동반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수술적 치료의 경우 사시각의 크기, 환자 나이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며 “사시수술은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위치를 옮기거나 길이를 조절해 눈의 위치를 바로잡아준다”고 설명했다. 성인 역시 사시가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은 뇌신경 마비, 갑상선질환 등에 의한 외안근 이상, 근무력증과 같은 전신질환 등이 있다. 이 역시 사시각의 크기에 따라 프리즘 안경 착용이나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