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인위적인 쌍둥이 임신이 많아짐에 따라 정부가 체외수정 시술시 이식할 수 있는 배우수를 줄이기로 했다.보건복지부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보호를 위해 체외수정 시술 시 이식할 수 있는 배아수를 최대 5개에서 3개로 줄이는 내용을 담은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 시술 의학적 기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10월부터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이 가이드라인은 정부의 난임부부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기 위한 요건이어서 지키지 않으면 정부 지원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 관련 내용이 포함된 ‘모자보건법’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개정안은 여성의 난소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는 35세를 기준으로 이식 배아수를 조정해 여성연령 35세 미만은 최대 2개, 35세 이상은 최대 3개까지만 이식하도록 줄였다.임신확률을 높이고자 한 번에 여러개의 배아를 이식하는 수술은 쌍둥이 이상의 다태아 임신 확률을 높이는데 다태아 임신은 고위험임신과 조산에 따른 미숙아 출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다태아 임산부의 미숙아(조산, 2.5㎏ 미만 저체중 포함) 출산율은 57%로 그렇지 않은 경우(3.8%)보다 무려 15배가량 높았다.더욱이 임신기간 37주 미만인 조산아는 전체 출생아의 6.5%에 불과하나, 영아사망자의 59.6%를 차지할 만큼 위험도가 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인위적인 시술 등을 통해 다태아 출생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 통계청 출생통계에 따르면 체외수정 시술로 태어난 출생아는 자연임신 출생아 보다 다태아(쌍둥이 이상) 출생이 19배 이상 높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쌍둥이 이상의 다태아 임신은 태아와 산모에게 위험할 수 있으나 일반 국민들은 이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 같다”며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 등 난임시술을 시도하는 산모는 고령인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정부는 또 시술기관에서 난임진단을 내리기 전 원인을 알기위해 여성의 배란기능·자궁강 및 난관검사와 남성의 정액검사 등 기본적인 생식건강 검사를 반드시 실시하도록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