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후계인력의 고갈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15일 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전업농의 연령분포 및 승계인력’에 따르면 쌀 전업농은 논 2.0ha이상의 벼(밭작물)재배 경력 3년 이상인 농업인 중에서 규모화 ·전문화된 농업인 양성을 목표로 국가가 선별해 육성하는 제도다. 쌀 전업농은 2014년말 6만9000명의 전업농중 60세 이상이 2만3000명으로 33%를 차지했다. 반면 40세 이하 전업농은 2900명으로 4.2%에 불과했다. 신규로 선정되는 전업농 숫자도 매년 줄고 있다. 2010년 1800명이던 신규 전업농은 2014년 644명으로 65% 줄었다. 40세미만은 541명에서 130명으로 20%에 불과했다.신규로 유입되는 젊은 전업농의 비율과 숫자도 줄고 있어 전업농의 전체 숫자뿐 아니라 후계인력 양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실제 전업농이 승계된 수는 2010년 107명에서 2014년에는 29명으로 5배 가까이 줄었다. 신정훈 의원은 “전업농 육성은 국가 농업발전 전략의 핵심수단 중 하나인데 이처럼 전업농의 존립 기반자체가 흔들리고 있어 농지규모화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개별 농민에 대한 규모화 지원보다 농지의 국가매입관리 및 수요자 임대방식으로 농지관리 방식을 바뀌는 방안과 전업농 승계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대안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