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1·2호선에서 운영 중인 민간위탁 역장 자리 대부분이 공무원 출신들이다.민간 위탁 역장 자리를 놓고 사실상 갈라먹기 식이다.38% 가량이 도시철도 관리와는 무관한 대구시와 시구의회 출신 공무원이다.이 사실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 의원이 대구시로부터 제출받은 ‘대구도시철도 민간역장 채용 현황’국감자료에서 확인됐다.자료에서  대구지하철 1·2호선 민간위탁 역 16곳 가운데 6곳(38%)의 역장이 대구시와 산하기관, 시구의회 공무원 출신 인사로 밝혀졌다.2011년 강창역장으로 대구시 문화산업과 이모씨가 채용됐고, 2012년에는 죽전역에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경영부, 만촌역에 대구시 기회관실, 연호역에 대구시 도시철도건설본부, 고산역에 대구시 북구의회 출신 공무원들이 채용됐다. 2011년~2014년 채용된 민간위탁 역장은 16곳 중 5곳(31%) 이었다. 2011년 강창역장 채용된 이모씨는 2차 면접 경쟁상대 중 대구도시철도 출신 역장 등 경력자 5명을 제치고 낙점됐다.2013년 월촌역장에는 대구시 의회사무처, 현충로역장은 대구시 달서구청 행정지원국, 내당역장에는 대구시 도시철도건설본부 관리과로 5명 중 3명이 채용됐다. 2014년 해안역장에는 대구시 서구 의회사무국, 만촌역장에는 대구시 달서구 경제환경국, 연호역장에는 대구시 공무원교육원 등 16곳에 6곳(38%)이 대구시와 시구의회 출신 공무원으로 기용됐다.민간위탁 역장에 기용된 대구시 등 공무원들은 채용공고 기준 60세에서 1~2년 정도 낮은 연령대의 분포를 보였고, 대부분 4급에서 퇴직을 앞둔 지방행정 공무원이 대부분이었다.1차 서류접수와 2차 면접 대상자를 보면, 대구도시철도 출신 전문가보다 대구시와 시구의회 출신 퇴직공무원들의 민간위탁 역장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대구시 출신 공무원 합격자도 2011년 31%에서 2014년 38%로 증가하고 있다.민간위탁 역장의 대행업무가 비상상황시 긴급조치와 승객안전관리 등의 책임을 지고 있어, 안전에 대한 전문성보다는 보은성 낙하산 인사 자리로 활용될 경우 지하철 안전사고 발생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진선미 의원은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지하철 역장 채용에서 아무리 민간이라고 하지만, 전문성보다 관계성과 보은성이 우선되는 낙하산 인사 채용은 용납될 수 없다”고 뼈있는 충고를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