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구미와 칠곡, 경산 등 경북남부권지역과 대구시를 하나의 생활경제권역으로 연결하기 위해 지난 수년간 추진해 온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경부고속철도 완전개통에 따라 기존 경부선의 여유용량을 활용한 저비용 고효율사업인 대구권(구미-왜관-대구-경산간 61.85㎞, 1197억원) 광역철도 사업이 지난 7월 20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기 때문이다.이 사업은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을 위해 도와 대구시가 함께 추진해야 하는 사업으로, 대구와 경북권 경제 활성화 등에 한몫 할 것으로보인다.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은 구미-칠곡-대구-경산간 기존 경부선 철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광역전철이 운행 할 수 있는 승강장 등 일부시설을 개량한다.총사업비 1197억원을 들여 총 9곳(기존 구미·왜관·대구·동대구·경산 등 5곳, 신설 사곡·왜관공단·서대구·원대 등 4곳)의 정거장을 갖추게 된다.이 철도는 출퇴근 시간 15분, 평시 20분 간격으로 매일 오전 5시부터 밤 12시까지 일일 61회(편도) 운행되며, 구미에서 경산까지 43분이 소요된다.도는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해 2007년 4월 KTX 2단계 건설에 따라 발생되는 기존 경부선의 여유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대구권 광역전철망 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안했다.2009년 7월에는 국토교통부의 기본조사용역결과 일반철도 증편방안으로 사업 타당성을 확보했지만, 건설 후 운영 및 추가사업비(차량구입비) 등의 문제로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도는 올해부터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수립을 시작해 내년에는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도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대구와 경북권의 지역 경제 활성화 등에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내다봤다.도는 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을 통해 철도 서비스 낙후지역에 대한 교통 불편 해소 등을, 경북의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구미-칠곡-대구-경산이 광역경제권을 형성해 남부권역 330만 주민들에게 새로운 철도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통행시간 단축 및 차량운행비용 절감, 교통사고 및 주차비용 절감, 대기오염, 소음 등 환경비용 절감 등 상당한 부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대구도시철도 1, 2, 3호선과 연계한 환승체계가 구축되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규역사 신설이 예상되는 사곡역, 왜관공단역, 서대구역, 원대역 주변에는 토지이용 계획 수립시 역세권 개발 가능성도 커져 침체된 주변 상가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장기적으로는 김천-구미(22.9㎞)와 경산-청도-밀양(44.7㎞)을 연결해 도시 간 대중교통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발전 및 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도는 대구시와 함께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 중에 있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 연장(3.3㎞)과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 사업을 내년부터 착수한다. 현재 사전예비타당성조사 용역중인 영남대-진량-대구대-하양간 연결(1+2호선, 11.4㎞)사업과, 범물-압량(2+3호선, 13.2㎞) 연결 등 대구도시철도 1,2,3호선 연결사업도 대구시와 손잡고 계속 추진한다.김관용 경북지사는 “이 사업은 도가 안동으로 이전하게 됨에 따라 그동안 소외돼왔던 인근 시·군(구미, 칠곡, 경산 등)과 대구시와의 상생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 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사업의 조기 준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 구간은 인구 328만명(2013년 기준) 32만여 사업체(대구 26만8196개, 구미 2만7862개, 경산 1만5714개, 칠곡 8896개)에 116만명(대구 81만명, 구미 19만명, 경산 11만명, 칠곡 5만명)의 근로자가 종사하는 광역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