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서울·인천·대구 교육청 등 국가·자치단체도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는 2014년 12월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낮은 국가·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615곳의 명단을 28일 공표했다공표 대상은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장애인 근로자(비공무원) 고용률이 1.35% 미만인 국가·자치단체,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100인 이상 공공기관, 1.35% 미만인 300인 이상 민간기업이다.고용부는 지난 4월 장애인고용 저조기관 1120곳을 선정해 공표대상임을 알리고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토록 지도했으나 절반 가량은 장애인 고용 확대 조처를 하지 않았다.국가·자치단체는 국회(1.45%)와 8개 교육청(서울·인천·대구·부산·세종·경기·충남·전남) 등 9곳이, 공공기관은 한국거래소(0.92%), 한국국방연구원(0.44%), 아시아문화개발원(0.47%), 서울시립교향악단(0%) 등 총 18곳이 함됐다.총 615곳 중 민간기업은 588곳이다. 지난 4월 공표보다는 187곳이 줄었다.30대 그룹에서는 동국제강, 두산, 롯데, 삼성, 한화, 현대자동차, 에쓰오일 등 7개 그룹을 제외한 23개 그룹 계열사 56곳이 포함됐다.공표 대상에 가장 많은 계열사가 포함된 기업은 동부(7곳)와 한진(5곳)이며, GS리테일, 대한항공, 미래에셋생명보험 등 52곳은 2회 연속 명단공표에 포함됐다.엘브이엠에치코스 메틱스, 에이에스엠엘코리아, 휴먼테크원, 지오다노 등 4곳은 2008년부터 이번까지 12회 연속으로 명단공표에 포함됐다.장애인을 한명도 고용하지 않은 기관도 45곳이나 됐다. 서울시립교향악단, 부루벨코리아, 프라다코리아, 스와로브스키코리아 등이다.고용부 관계자는 "통합고용지원서비스,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등 다양한 장애인 고용 지원제도를 활용해 장애인 고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명단공표 내용은 고용부 홈페이지(http://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누리집(http://www.kead.or.kr), 관보 등에서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