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후조리원의 감염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보건복지부는 1일 ‘산후조리원 감염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키로 했다. 이처럼 복지부가 산후조리원내 감염사고를 미리 막기로 한 것은 산후조리원의 증가와 함께 감염사고도 매년 10여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어서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 6월말 현재 전국의 산후조리원수는 602개다. 2007년 377개에 비해 두배가량 늘었다. 산후조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자기의 삶을 즐기려는 젊은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늘면서 산후조리원도 크게 늘고 있다. 2010년 442개, 2011년 488개, 2012년 540개, 2013년 557개, 2014년 592개로 매년 10-20개 가량 증가하고 있다.산후조리원이 늘면서 종사자도 지난해 6월 기준 1만309명에 달하고 있다. 산후조리원당 17명 이상이 종사원으로 근무하는 셈이다. 문제는 이러면서 감염사례도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올 6월 기준 산후조리원에서 발생한 신생아 질환은 모두 1229건으로 이중 황달·발열 등 기타증상이 991건, 감염에 의한 증상은 238건이었다. 감염신생아수는 2013년 49명, 2014년 88명으로 두배정도 늘더니 올들어서는 270명으로 3배이상 늘었다. 무분별한 조리원 출입 등으로 인해 감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감염경로는 감기(25.8%), RS바이러스감염(24.3%), 로타바이러스감염(18.7%), 폐렴(7.1%), 기관지염(3.9%) 등 다양했다.게다가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는 감기 등 간단한 감염질환에도 무방비인데 결핵 등 과중한 감염인자에 노출될 경우 큰병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최근에는 방문객이나 종사자들로 인해 호흡기 질환인 백일해와 결핵이 신생아에게 전이돼 사회문제화 되기도 했다.다행히 올해 상반기 확산된 메르스까지는 조리원내로 침범치 못했지만 전염인자를 막는 것이 보육당국으로서는 급한 불이 된 셈이다.복지부 관계자는 “감염관리 대책 관련 모자보건법령 및 감염관리 지침 개정을 추진하고 산후조리원 종사자 잠복결핵감염 일제조사 등을 통해 전염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