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사망률이 지역에 따라 3배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뇌졸중학회가 2011~2013년 전국 251개 지방자치단체의 평균 뇌졸중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다.17일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 자치단체 중 인구 10만명당 평균 뇌졸중 사망률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도(26.7명)였다. 이어 서울(28.7명), 충남(34.8명), 경기(35.2명), 대전(35.4명), 강원(36.6명), 광주(36.7명), 경남(37.2명), 경북(37.8명) 등의 순이었다.뇌졸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44명)으로 제주와의 격차가 1.6배에 달했다.시·군·구 쪼개면 그 차이는 더욱 벌어졌다.서울시 서초구는 10만명당 19명을 기록한 반면 경상남도 고성군은 57명에 달해 지역간 편차가 3배까지 벌어졌다.뇌졸중 사망률의 편차는 의료기관의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대변되는 지역 불균형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실제 학회가 전국 140개 병원을 대상으로 뇌졸중 전문치료실 설치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44.6%(62개)가 뇌졸중 전문치료실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중 58%(36개)가 수도권에 집중됐다.인구 100만명당 뇌졸중 전문치료실 설치율은 서울이 2.01개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제주 1.51~2개소, 인천·경기·강원·대전·광주·전남·경남 1.01~1.5개소 등이 뒤를 이었다.반면 울산, 경북, 충남은 0~0.50개로 지역 내에 뇌졸중 전문치료실을 갖춘 병원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정진상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은 "세계적으로 뇌졸중전문치료실을 확대해 정맥 내 혈전용해제의 투여 및 동맥을 통한혈전제거술의 시행 등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뇌졸중전문치료실의 지역적 불균형은 지역 간 의료 서비스의 격차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