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 속 4·13 총선 필승을 다짐하고 있지만 정작 유권자에게 내놓을 참신한 인재를 영입하는데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와 김병관 웹젠 이사회 의장을 잇달아 영입하며 참신함을 표방하는 것과 달리 계파 싸움 속 공천지분 나누기에만 골몰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는 당 인재영입위원회가 공전하고 있는데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장직은 권오을 전 위원장이 총선을 이유로 지난해 12월 사직한 뒤 한달이 넘도록 공석이다. 수장이 자리를 비운터라 관련 작업도 사실상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안대희 전 대법관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거물급 인사들도 인재영입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야당에 비해서는 참신성은 분명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안 전 대법관은 한 번의 국무총리 내정으로 이미 여권에 발을 디뎠고 오 전 시장도 잠시 휴지기를 가졌지만 새누리당이 영입한 `새로운 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나 이준석 전 비상대책위원도 비슷한 이유로 참신성과는 거리가 있다. 새누리당 한 당직자는 “총선 때마다 외부 인사를 수혈하다 보니 인재풀에서 가용할 인재가 적어진 것은 사실”이라며 “괜찮은 인물은 정치권에 들어오지 않으려고 하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반면 야당은 인재영입을 통해 혼란스러운 당내 분위기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표 전 교수와 김 의장의 더불어민주당 입당은 맞춤형 인재영입이라는 점도 신선하다. 표 전 교수의 경우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을 강하게 비판하며 현 정부와 각을 세워온 인물이며, 김 의장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안철수 무소속 의원을 겨냥한 인재영입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새로 수혈했다고 거론되는 인물 대부분 청와대 출신 인사거나 현정부 고위직 출신의 이른바 ‘진박’(眞朴·진실한 친박) 인사들이 대부분이다. 인재영입이 방치되고 있는데는 계파간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공천 룰을 두고 티격태격 싸움박질을 하면서도 이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찰떡궁합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