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공단이 변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구미시에서는 대기업 의존적이었던 종래의 직렬적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연구개발 기능 강화 및 업종다각화를 통해,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5공단, 확장단지 조성 등 새로운 경제영토를 확보하고, IT산업자원을 활용, 의료기기, 국방, 자동차부품, 웨어러블, 탄소소재와의 융복합을 통해 지역 산업 생태계의 창조적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 지방도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올해 들어 대한민국 전체 수출은 전년대비 7.6%가 감소했으며, 경북 13.2%, 구미는 15.9%의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중국 등의 저가물량 공세를 비롯, 미국, 중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 경제성장 둔화로 수출활로 개척이 어렵다는데서 찾아 볼 수 있다.특히 아베노믹스를 통한 엔저현상을 중심으로 촉발된 글로벌 환율전쟁, 실질실효환율지수 상승, 물류비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대기업의 해외 현지화 전략 등으로 인해 구미를 비롯한 창원, 포항 등 산업중심의 지방도시는 더욱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국내 산업구조의 특성상 중소기업의 높은 대기업 의존도와 경쟁력 강화는 지역경제에 가장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구미공단, 변화의 중심에 서다국내 최고 수준의 IT산업도시인 구미시가 지난 10년간에 걸쳐 추진해온 ‘구미공단 체질강화’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있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최근 언론 대담을 통해 “좁은 시야로 미봉책을 추진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더 큰 문제를 유발한다. 거시적 안목을 통해, 구미공단에 대한 근본적인 ‘탈피’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이에따라 현재 구미시에서는 기존산업을 바탕으로 IT융·복합산업 활성화와 업종 다각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R&D) 기능 강화를 통한 제품 상용화를 위해, 10년 전부터 ‘금오테크노벨리’를 중심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 의료기기, 3D프린팅, 국방벤처센터 등 4000억 규모의 R&D 상용화 센터를 구축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중소기업 체질개선과 업종 다각화 유도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 내부에서도 관찰된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기업 부설 연구소의 대폭적인 증가다. 2008년 179개에 불과했던 구미공단의 기업부설 연구소가 2015.11월 현재 386개소로 207개소가 증가한 것이다. 이는 과거 대기업의 단순 조립이나 부품공급을 담당했던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인 기술력을 갖고자 하는 것으로, 구미시의 산업구조가 바뀌고 있음을 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