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 먹을거리는 해양관광산업이다.지금 경북은 환동해안시대를 맞아 한반도 허리 중심 역할을 하려고 몸부림치고 있다.김관용 경북지사도 동해안 시대 경북경제가 살쪄야 할 방향을 제시하면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국토교통부가 최근 발간한 ‘2015년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북도의 전체 면적은 1만9029㎢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컸다. 민선 지방자치 출범 20년 동안 경북도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3배, 예산은 6배 이상 증가했다. 도로는 4000㎞나 새로 뚫렸다.1995년 민선 1기 출범 당시 25조원이었던 경북의 지역총생산(GRDP)이 2013년에는 89조원에 달해 3.3배 늘었다. 늘어난 예산은 지역 발전으로 이어졌다. 때문에 경북도가 환동해안 시대 권역별 경제 발전을 위한 청사진 그리기에 총력을 쏟고 있다. 하지만 영덕의 장기발전계획을 보면 특정 지역편중에 쏠리고 있다.실제 지난달 23일 영덕군민회관에서 열린 영덕 군관리계획(재정비)을 위한 장기발전구상 안이 뒷받침한다.영덕군의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에 따른 군의 공간구조 생활권 설정에서 현재인구 1만1885명인 북부권(창수·병곡·영해면)은 2025년까지 1만2800명, 축산·지품면, 영덕읍의 중부권은 2015년 1만6925명→2025년까지 2만4000명, 남부권(달산·강구·남정면)은 2015년 1만1만286명→2025년 1만3200명으로 인구가 증가한 총 5만명으로 추산 구상해 도시개발을 설정했다.결국 영해 중심 북부지역 인구는 겨우 915명 늘어난다.김관용 경북지사가 외치는 동해안 시대 동반성장에 따른 균형발전을 오히려 영덕군이 역행하고 있는 셈이다.영덕군의 영덕 군관리계획(재정비)을 위한 장기발전구상 안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한수원사원숙도 영해 건립 백지화와 맞물리는 꼴이다.영해 주민들은 생산녹지와 임야를 주거지 또는 개발예상지로 풀어놓은 다음 영해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지역 개발을 요구할 때 구획정리가 되지 않아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를 들어 사실상 북부 발전 백지화는 불 보듯 뻔 한 일이라고 주장했다.북부지역민들은 “영덕군의 북부발전 미온 책은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사원 숙소를 북부 대신 영덕에 유치하려는 검은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했다.영덕군 장기발전 계획은 인구가 늘지 않는 북부지역의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는 이유다.균형발전은 각 지역이 특성에 맞는 발전과 지역 간의 연계 및 협력 증진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높이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이다.그런데도 영덕군의 정책은 남부지역민들 위한 정책에 그쳐 북부지역민들을 철저히 소외시키고 있다.때문에 균형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여론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한편 경북도는 지난 11일 ‘영덕 고래불관광지 해양복합타운 조성’에 총매진 한다고 밝혔다.사업면적 88만㎡에 쏟아 붓는 사업비는 1920억원이다.이곳에 △관광호텔 △숙박시설 △연수타운  △휴양시설 △해수풀장 △체육·오락시설 등 대규모 관광시설을 건설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