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연구용 원자로(TRIGA Mark-Ⅱ)를 이 땅에 들여와 연구·개발을 시작한 지 50년 만인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우리 힘으로 개발한 원전(APR-1400)을 수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지난 50년 동안 원자력에 대한 일관된 정책과 투자를 해온 성과다.원자력 산업은 최근까지도 베트남과 원전 수출을 위한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등 저탄소·녹색성장의 대표산업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發電)시대’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2011년 발생한 최악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당사국인 일본을 비롯해 독일과 프랑스 등 원자력 발전을 추진해온 여러 나라에서 관련 정책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사실 많은 나라에서 원전정책을 두고 뜨거운 논란이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독일은 최근 10년 동안 원전정책을 세 번이나 변경, 에너지 문제 해결의 어려운 일단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02년 독일은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영향으로 원자력법을 개정해 신규 원전 건설 중단과 2021년까지 모든 원전의 단계적 폐쇄를 결정했었다. 태양열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통한 원자력 에너지 대체를 염두에 두고 내린 결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의 더딘 기술 개발과 원전 가동기한 연장에 대한 여론의 지지 등에 힘입어 2009년 가동 중인 17기 원전의 수명을 평균 12년 연장했다.그러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독일 내 원자력 여론이 악화하자 기존 정책을 뒤집어 노후 원전 8기의 가동 중단과 나머지 9기 원전의 단계적 폐쇄를 결정했다. 이렇게 정부의 원전정책이 바뀌자 독일의 전력회사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봤으며 전력설비 관련 회사들은 경쟁력이 약화돼 국제 원전시장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었고, 독일 국민은 원전 가동 중단으로 부족한 전기를 이웃 나라인 프랑스나 체코의 원전에서 값 비싸게 수입해 사용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에너지 정책은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독일처럼 원전정책이 왔다갔다 해서는 결코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 정책이 더 이상 흔들리지 않고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원전의 안전성을 배가시키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전재돼야 하며 이는 원자력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의 책임 있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때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