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대구취수원 이전문제가 풀리지 않고 있는 현실이 답답해 신도청시대 개막과 함께 낙동강 상류지역에 물밸트 구축으로 대구취수원 문제를 해결하기를 제안해본다. 1991년 페놀사고 이후 최근의 다이옥산과 끓여도 해독되지 않는 독성녹조 마이크로시스틴 발생 등 수차례에 걸쳐 반복되고 있는 구조적인 수질오염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야 대구지역의 먹는 물 공급이 안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대구취수원을 구미 상류로 이전하는 것이 가장 쉽고 우선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되지만 하천유지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므로, 낙동강 물이용 선순환 방식을 가동하면 대구취수원 이전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방안을 추진 할 주체가 없는 것이 아직도 원점에서 머물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그래서 경북북부지역에서 신도청시대를 맞이해 대구-안동간 낙동강 물밸트를 구축해 강물이 흐르는 상류지점에서 취수하고 하류수를 역순환 시키며 취수지점 하류지역의 시군(주민)에 대해 경상북도에서 대구시와 수질, 수량, 보호구역, 피해보상 등에 대한 제반사항을 협의ㆍ조정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구취수원 이전 대책이라고 생각한다.대구지역방류수(빗물, 지하수, 하수처리수 등)를 회수해 상류로 도수하는 방안을 낙동강 수질환경 측면에서 좀 더 보완해 현재 대구취수지점(펌프장)에서 바로 상류로 도수해 상류취수지점에 방류하는 방안으로 수정제안 하고, 취수관로와 회수관로를 동시에 2열로 낙동강 하상에 매설해 양방향으로 도수를 하면 건설비도 9000억원 정도로 낮출 수 있다고 보며 건설비와 수리(동력)비용이 다소 늘어나더라도 250만명의 생명이 걸린 안전한 식수공급 사업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웅도경북을 견인할 대구경북(북부지역 5개시군) 물밸트화는 결국 대구경북 상생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구지역 맑은 물 공급사업을 달성하고 상류지역은 원수를 정수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지방광역상수도사업에 따른 고용창출(정수량에 다라 200-300명 정도)과 부가가치(1톤당 100원 수익 시 연간 2-300억원 정도) 수익으로 낙후된 북부지역 발전에 원동력이 돼 상ㆍ하류지역이 WIN-WIN 할 수 있는 신도청시대의 빛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 확신하는 바이다.낙동강 물을 맑게 하는 근본적인 수질환경보전대책이 요구되고 있지만 지금당장 대구시민들의 생명수에 대한 안전을 생각하면 가장 시급하고 현실적인 대책이 아닌가 믿어 의심치 않으며 필자도 중금속 오염과 녹조발생 등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항구적인 수질환경보전대책이 하루 빨리 추진되기를 바라며 21C BLUE GOLD 시대를 맞이해 대구경북이 하나로 뭉쳐서 현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에도 부합된 모범사례로 추진한다면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역사회 상생발전의 롤 모델로 성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