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8일 서울 지하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정비하다 사고로 숨진 비정규직 사원 김 모(19) 씨 사건과 관련해 산업재해 예방대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대구지역 지자체들은 여전히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일 대구참여연대와 민주노총대구지역본부 등이 대구시와 각 지자체의 산업재해 발생현황과 산업재해 관리에 관한 정보공개 청구에 의한 통보결과에 따르면 대구지역 131건의 산업재해 중 비정규직 노동자 재해가 109건이었다. 대구 본청(4명)과 남구(9명), 달성군(9명), 수성구(15명)는 재해 발생 근로자 전원이 비정규직이었으며 북구 34명 중 25명, 동구 25명 중 20명, 중구 16명 중 14명, 서구 12명 중 9명 순이었다.지자체에서 일어난 산업재해 중 가장 많이 차지한 분야는 환경정비와 미화 분야였다환경 분야로 집계 가능한 사고 건수가 총 39건으로 전체 산업재해 건수의 29.7%였으며 정규직을 제외할 경우 산업재해 중 35.7%가 환경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구시와 각 구·군의 산업재해 예방의지는 빈약하기 짝이 없는 실정이다.고용노동부는 지난 2013년 늘어나는 공공기관 산업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자체가 산업재해예방관리 부서 지정과 산업재해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할 것을 지침으로 내렸다. 하지만 3년이 지나도록 대구에서 산업재해예방관리 부서를 지정하고 산업재해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한 곳은 수성구 단 한 곳에 불과하다.8개 구·군 중 산재 예방부서를 지정한 곳은 4곳 뿐이었으며 대구시도 부서를 지정했지만 산업재해종합관리계획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이러한 대구시와 각 구·군의 산업재해예방 무책임과 무계획 속에 비정규직노동자들이 각종 산업재해에 노출돼 있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