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회관이 559억원을 들여 리노베이션을 통해 재개관한 지 3년 가까이 지났지만 여전히 대구시민의 세금을 쏟아붓는다는 ‘애물단지’ 논란이 일고 있다. 대구시민회관은 1975년에 개관했으나 노후화로 인해 매년 20억원 이상의 보수비용이 들어가자 대구시는 리노베이션(기존 건축물을 헐지 않고 개·보수해 사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지난 2009년 11월 5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대구시는 사업 추진 당시 전체 공사비 중 국비 20억원과 시비 2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캠코가 부담하고 20년간 상업시설을 임대해 얻는 수익으로 공사비를 회수한다고 밝혔다.대다수 시민들은 대구시가 재정부담 없이 낡은 시민회관을 리노베이션을 통해 탈바꿈하고 문화도시의 필수라 할 수 있는 클래식 전용 공연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를 했다.하지만 대구시는 준공 1년 전부터 3년 동안 캠코에 129억원을 지급하고 준공 후 20년 동안 매년 6억원씩 120억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또 건축원가의 4%인 개발수수료와 매년 전체 재산가액 0.33%인 관리수수료는 물론 위탁기간 20년 동안 초과수익이 발생하면 결산 후 40%를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하지만 공사비 회수 수단인 상업시설 임대수입은 재개관 이후 1년이 지나도록 단 한 푼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올해 8월말 현재도 연간 임대수익은 2억6436만 원에 불과한 실정이다.대구시는 재개관 당시 연간 임대수입을 25억원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10%에 불과하고 앞으로도 크게 늘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임대수익으로 충당해야 하는 막대한 개발원리금은 세금으로 메꿔져야 하며 캠코의 상업시설 수익보장분 6억원도 20년간 매년 대구시가 물어야 한다. 시민회관 리노베이션을 추진하면서 국비와 시비 4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공사비는 사실상 캠코가 부담하는 것이라던 대구시가 시민을 속였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한편 시민회관 리노베이션 사업은 2010년 4월 외부인 1명도 없이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각 국장들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시정조정위원회에서 결정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