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사건 등 거듭된 오염사고로 인해 낙동강을 수돗물 원수로 사용하는 대구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지역 현안으로 떠올랐던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가 수년째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현재 대구시는 상류에 구미산업단지가 위치한 낙동강에 식수원의 70%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낙동강에 맹독성 남조류가 확산되고 환경부 4급수 지표종인 실지렁이가 발견되자 취수원 이전 문제가 새롭게 화두로 떠올랐다.대구시는 1일 수요 취수량 80만㎡ 중 낙동강 수계에서 56만㎡를 취수하며 수성구와 동구를 제외한 6개 구·군의 시민들이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다.대구취수원 이전사업이 대구시민의 바람과 달리 지지부진한 것은 무엇보다 지역갈등을 이유로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정부와 국토교통부의 미온적 자세가 가장 큰 이유이지만 대구시도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대구시는 그동안 대구시 취수원 이전이 대구시민의 숙원사업이라며 강력한 추진의사를 밝혔지만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고 대구시장선거 공약사업으로 내걸었던 권영진 시장 역시 출범 2년이 지나도록 성과를 내지 못했다.구미시는 공업도시로서 그동안 페놀사건 등 낙동강 오염사고의 진원지인 구미산단이 위치해 있지만 대구취수원 이전문제는 경제적 이익과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논의자체를 금기시하고 있다.새누리당으로 대표되는 대구지역 정치권도 선거 때마다 앞 다투어 ‘취수원 이전’을 외쳤지만 선거만 끝나면 언제 그랬느냐는 모양새다. 지난 4·13 총선에서 대구취수원 이전문제는 여야 구분없이 비중 있는 총선 공약이었으나 선거 이후 취수원 이전을 위한 정치권의 구체적인 행보는 찾아볼 수 없어 생색내기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역 여론은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 정치권이 여러 대안을 놓고 실현 가능한 안을 조속하게 찾아 시민들의 숙원을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취수원 이전을 위해 정부를 설득하고 지역간 갈등을 조정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없어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는 물론 실망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