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 지역에서 규모 5.8의 강한 지진이 발생하는 등 국내 지진 발생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 취·정수시설과 하·폐수종말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의 내진설계 적용이 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새누리당 조원진(사진·대구 달서병) 의원이 공개한 대구지방환경청의 ‘대구·경북 지역 환경기초시설 내진설계 현황’에 따르면 대구·경북 지역 취·정수시설과 500㎥/일 이상 하·폐수종말처리시설 204곳 중 내진설계가 적용된 시설은 72곳(3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취·정수시설은 100곳 중 단 6곳(6%)만이 내진설계가 반영됐고 하수종말처리시설은 78곳 중 60곳(76.9%), 폐수종말처리시설은 26곳 중 6곳(23.1%)만이 내진설계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장 주민들이 먹는 물을 정수 처리하는 정수장의 경우 내진설계 반영률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의 경우 매곡, 문산, 고산, 가창, 공산 등 5개 정수장 중 문산정수장을 제외한 모든 정수장에서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다.또한 경북의 경우 내진성능 평가 결과 적정으로 분류된 포항시의 유강, 공단, 양덕, 제2수원지 정수장, 김천의 지례정수장 등 5곳을 제외하면 나머지 지자체의 경우 내진설계가 된 정수장은 한 곳도 없었다.만약 대구·경북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주민들의 가장 기초적인 생존 조건인 먹는 물 확보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조원진 의원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취·정수장과 하·폐수종말처리장과 같은 국민 일상에 직결되는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내진 보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