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만 대구시민의 먹는 물을 취수하는 대구취수원 이전이 10년째 표류하고 있다.정부의 안일한 인식과 대처, 직접 이해 당사자인 대구시와 구미시의 안일한 대응과 무책임한 태도 때문이라는 여론이 높다.따라서 이해 당자사인 대구시와 구미시의 적극적인 협력은 물론 경북도의 능동적인 조정과 중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국민의 먹는 물에 대해 안전을 책임지고, 선제적으로 나서야 할 국토부는 행·재정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 또한 거세다.이미 지적했듯이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의 발단은 구미공단에 있다.구미공단은 그간 수차례에 걸친 유독물질 유출로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대구시민들에게 엄청난 피해와 먹는 물에 대한 불신감을 심어줬다.대표적인 오염사건은 1991년 1월에 발생한 페놀유출 사건이다. 이후 2004년 1월 또다시 1.4다이옥산 사고가 발생했다. 구미공단 내 10개 화섬업체에서 사용하는 1.4다이옥산이 유출돼 낙동강 수계의 정수장에서 1,4다이옥산이 다량 검출됐다. 2006년 7월에 발생한 퍼클로레이트 유출사고가 발생했다.낙동강 중류지역에서 잇따라 발생한 식수원 오염 사고는 대구시민들에게 먹는 물에 대한 불신을 갖게 했고, 결국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대구시의 취수원을 오염 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구미공단 상류지역으로의 이전이라는 해법이 제시됐다.실제 대구시민들이 먹는 물 중 70%이상을 낙동강에서 취수하고 있는 대구시의 입장에서는 취수원 이전 이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이다.대구취수원 이전 문제가 대두되자 국토부가 ‘해당 지자체간 합의가 우선’이라는 해괴한 논리로 이 문제를 더욱 꼬이게 했다.사실, 먹는 물은 단순히 일부 시민이나 지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가정 먼저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 행·재정적 지원을 하며, 문제를 풀어야 하지만 이상한 논리를 내세워 국가가 해결해야할 과제를 지자체에 떠 넘겨 버린 것이다.직접 이해 당사자인 대구시 역시 구미시는 물론 경북도를 상대로 이해와 협력, 조정 등을 간절하고 진정성 있게 요구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대구취수원 이전 문제의 단초를 제공한 구미시는 이 문제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분위기다. 대구시민 대부분은 대구의 먹는 물 만큼은 구미시의 전향적인 자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남유진 구미시장의 경우 지역 여론과 표에만 몰두하기보다는 대구시민의 귀중한 생명줄인 먹는 물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경북지사 출마를 꿈꾸며 큰 지도자가 되려면 지역에 매몰된 단체장이 아닌 큰 틀의 행정과 정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