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7건이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은 진재(眞宰) 김윤겸(1711-1775)이 합천, 거창, 함양, 산청과 부산(동래) 등 영남의 명승을 유람하고 그린 14장의 화첩이다. 김윤겸이 1770년(영조 46) 소촌 찰방에 임용될 당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경상도 지역 진경산수화다. ‘청자 상감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은 퇴화(堆花) 기법으로 초화문(草花文)을 베푼 주전자와 승반(밑받침 접시)이다. 주전자와 승반이 한 묶음으로 구성돼 더욱 가치가 높다.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는 지정된 다른 상형청자에서 볼 수 없는 죽순을 형상화한 것이다. 여러 식물 모양 청자 가운데서도 조형과 장식, 그리고 유색(釉色)이 조화를 이룬 최상급 청자로 평가된다.‘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는 상형과 투각(透刻)의 두 가지 기법이 어우러져 밀도 있게 표현됐다. 푸른빛의 유색이 유달리 뛰어나다. 이 붓꽂이는 사각형 몸체와 용머리 장식이 인상적이다. 희소성 다양한 장식기법이 조화를 이룬 최상급 청자다.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는 1739년 밀기, 채원 서징 등 경북에서 활동한 화승들이 경주 거동사 오주암에서 제작해 불영사에 봉안했다는 분명한 화기를 남기고 있다. 팔공산 지역과 구미, 상주 일대 경북 중북부의 결합된 화풍을 담고 있다는 사실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도림사 보광전의 후불화로 봉안된 것이다. 1730년 수화원 승려인 채인, 진행, 즉심, 각천, 책활 등이 제작했다. 18세기 전반기 화풍과 화사(畫師)간의 교류를 통한 화맥의 전승관계를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은 중국 원나라의 고승인 몽산화상 덕이(1231-?)의 법어를 약록(略錄)한 것을 조선 초기의 승려 신미가 토를 달고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훈민정음이 반포되고 나서 머지않은 시기에 간행된 도서라는 점에서 국어학 연구와 조선전기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문화재청은 이들 7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