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낙동면 물량리 낙동강변에서 국내 최대 크기의 인물형 암각화 수 점이 발견됐다.이는 그동안 한반도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유형의 암각화라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물량리 암각화는 인물과 사람 얼굴이 중심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동심원과 검파형을 띈 이른바 ‘한국형 암각화’ 형태와는 다르다.4일 울산대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에 따르면 물량리 암각화는 상주시청 공무원 김상호씨가 수년 간 낙동면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 반구대연구소에 제보해 학술 조사가 이뤄졌다.이에 따라 반구대연구소는 지난해 12월15일과 20일 두 차례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상주 물량리 암각화는 북쪽을 바라보는 바위절벽의 중심 가로·세로 1125×320㎝ 크기의 암면에 새겨진 것으로 확인됐다.암면에선 9점의 인면과 2점의 인물상 등 모두 11점의 암각화가 조사됐다.암각된 두 인물은 각각 74×128㎝와 104×173㎝ 크기로 이러한 크기의 인물 암각화는 그동안 조사된 국내 암각화중 단일 암각화로는 최대치다. 이 암각화의 특징은 눈을 강조하는 한편 입은 생략한 형태로 새겨져 있다. 이에 대해 반구대연구소 소장 전호태 교수는 “낙동강을 내려다보는 자리에 있는 것으로 볼 때 수변제사(水邊祭祀)유적의 하나로 판단된다”면서 “유난히 강조된 인물상의 두 눈은 물량리 암각화가 물의 근원에 대한 신앙이나 수신신앙과 관련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전 교수는 또 “한국에서 발견된 가장 큰 인물 암각화라는 점에서 조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덧붙였다. 선 새김 방식이나 조형적 특징 등을 고려하면 기원을 전후한 철기시대 이후에 제작한 것으로 연구소는 추정하고 있다. 반구대연구소 이하우 교수는 “물량리 암각화는 선각으로 형상을 만들어가는 거친 선 새김 방식으로 제작됐다”며 “제작연대를 판단하기엔 어려움이 있지만 철기시대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손과 발을 과장해서 표현하거나 눈 등 특정부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몽골 알타이, 시베리아 암각화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며 “상주시와 협의해 암각화 주변 발굴 조사 등을 통해 정확한 연대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울산대 반구대연구소는 관계기관과 협의해 차후 물량리 암각화에 대한 정밀실측조사를 실시, 유적의 정확한 학술적 가치를 규명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